-
목차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 받으려면 연금저축이나 IRP가 좋대요.”
이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하지만 막상 가입하려고 보면, 두 상품이 비슷해 보이는데 뭐가 더 유리한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처음엔 “그게 그거 아닌가?” 싶었는데요.
알고 보면 세액공제 한도부터 수령 조건, 세금까지 전부 다르기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손해볼 수도 있어요.오늘은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 그리고 가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
1. 둘 다 세액공제 받는 상품, 하지만 구조는 다르다
구분 연금저축 IRP (개인형퇴직연금) 가입 대상 누구나 가능 누구나 가능 (퇴직연금 통합 가능) 납입 한도 연 1,800만 원 연 1,800만 원 세액공제 한도 최대 400만원 (총 600만 원까지 통합공제) 최대 700만원 (연금저축 합산 포함) 수령 조건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동일 중도 해지 시 기타소득세 부과 동일 📌둘 다 노후 대비와 절세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상품이지만, 세액공제 방식과 수령 조건, 그리고 운용 가능 자산에서 차이가 납니다.
2. 세액공제 한도부터 따져보자 (2025년 기준)
정부는 노후 대비를 장려하기 위해
연금저축과 IRP에 소득공제 대신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있어요.구분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공제율 16.5% 13.2% 세액공제 최대 금액 990,000원 792,000원 즉, IRP+연금저축을 합쳐서 700만 원 납입 시, 최대 약 99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단, IRP 단독 납입 시에도 700만 원 한도 적용됨
→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300만 원 조합이 일반적3. 무조건 IRP가 유리하지는 않다?
요즘 ‘IRP로 몰빵하면 된다’는 얘기도 있지만,
상품 구조를 정확히 보면 연금저축만의 장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연금저축이 유리한 경우
- 운용 자율성: ETF, 펀드, 예금 등 선택 폭이 넓음
- 소액 운용: 1만 원부터도 유연하게 납입 가능
- 해지 조건: IRP보다 중도 인출 사유가 다소 유연함
✅ IRP가 유리한 경우
- 퇴직연금 통합 가능: 직장인이라면 퇴직금 합산 관리
- 추가공제 혜택: 연금저축+IRP 700만 원으로 세액공제 최대화
- 노후 설계 일원화: 장기 운용에 유리한 구조
결론적으로,
"세액공제만 보고 IRP로 몰빵"하기보다는 내 상황과 목적에 맞는 조합이 훨씬 중요합니다.
4. 수령 조건과 세금, 반드시 확인하세요!
두 상품 모두 55세 이후부터 연금 수령 가능하지만, 수령 기간과 방식에 따라 세금이 달라져요.
구분 조건 세율 연금 수령 (5년 이상 분할) 55세 이후, 연 1,200만 원 이하 3.3%~5.5% 일시 인출 중도 해지 또는 비정기 인출 기타소득세 16.5% 연금 수령 초과 일정 금액 초과 시 종합소득세 합산 가능성 있음 💡 주의: IRP는 일시 인출이 거의 불가능하고, 연금저축도 5년 이상 분할 수령해야 저율 과세가 적용돼요.
5. 어떤 조합이 내게 가장 유리할까? 상황별 예시
👩💼 직장인 (총급여 5,000만 원 / 13.2% 구간)
-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300만 원 → 세액공제 극대화
- 퇴직연금도 IRP로 통합 가능
🧑🎓 프리랜서 (사업소득 / 세무신고 중)
- 연금저축 중심 + 소득구간 확인 후 IRP 추가 고려
- 유연한 납입 및 상품 운용 필요
👨👩👧 고소득자 (7천만 원 이상 / 공제율 낮음)
- 절세효과 크지 않더라도 노후 대비 목적 + 복리 이자
- 연금 수령 시 분리과세 유리
💬 체크리스트 – 연금저축·IRP 가입 전 꼭 확인할 것
항목 체크 세액공제 한도(총 700만 원) 알고 있나요? ☐ 총급여 구간에 따른 공제율 파악했나요? ☐ 연금 수령 조건과 세율 확인했나요?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인지하고 있나요? ☐ IRP에 퇴직연금 통합할 계획 있나요? ☐
📌 함께 보면 좋은 금융꿀팁
🔹 신용점수 떨어지는 행동 7가지 – 모르면 손해 보는 습관들
🔹 1년만 넣어도 이자 쏠쏠! 2025 적금 추천 리스트
🔹 신용카드 한도 올리는 법 - 고객등급별 조건 총정리이제는 ‘절세상품’도 똑똑하게 고르는 시대입니다.
연금저축과 IRP, 두 가지의 장단점을 잘 비교해보시고
내게 가장 유리한 조합으로 준비해보세요 😊'생활 속 금융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만 넣어도 이자 쏠쏠! 2025 적금 추천 리스트 (0) 2025.06.26 10명 중 3명은 모른다! 보험 해지환급금 확인 꿀팁 총정리 (0) 2025.06.25 실손보험 통합청구 앱 비교 – 병원비 돌려받기 쉬운 꿀팁 총정리 (0) 2025.06.24 ‘이체 실패’로 점수가 뚝? 신용관리에서 꼭 챙겨야 할 체크포인트 (0) 2025.06.17 모아둔 카드포인트 날아가기 전에! 소멸 알림 & 활용법 정리 (0) 2025.06.11